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숫자뉴스] 봄이 18.25일이나 먼저 왔다고?

어린이수학동아 16호 2023.08.15
오디오북 듣기



점점 더워지는 날씨 때문에 2100년에는 새의 수가 지금보다 약 12% 줄어들지도 몰 

라요. 지구의 기온이 높아지면서 봄이 오는 시기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지만, 새들은 

계절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살아남기 어려워지는 거예요.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와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진은 2001년 

부터 2018년까지 북미 179곳에서 41가지 종류의 새를 연구했어요. 새들의 짝짓기 시 

기와 태어난 새끼의 수를 조사했지요. 또, 인공위성으로 식물에 싹이 나는 시기를 분 

석해 봄이 언제 시작되는지도 조사했어요. 관찰 결과, 봄은 점점 빨리 오지만 새들은 빨 

라진 봄을 따라가지 못해 짝짓기 시기를 놓쳤어요. 결국 새의 수는 점점 줄어들었어요.



 





연구진은 2100년이 되면 봄이 시작되는 때가 지금보다 25일 정도 빨라질 것으 

로 예상했어요. 그에 비해, 참새와 같은 명금류★가 짝짓기하는 시기는 6.75일 정 

도만 빨라질 것으로 추측했지요. 봄이 오는 때와 새들이 짝짓기하는 때 사이에 

18.25일이나 차이가 생기게 된 거예요. 짝짓기를 해서 낳은 새끼를 키우려면 먹이 

가 풍부해야 하는데, 먹이가 가장 많고 날씨가 온화한 때인 봄을 놓치면 새끼 새들 

이 살아남기 힘들어진다는 걸 의미하지요. 특히 철새는 계절이 바뀌면 사는 곳을 

옮기기 때문에, 봄이 일찍 오면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해요.

UCLA의 모건 팅글리 교수는 “1970년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새의 수가  1/3이나 

줄어들었어요. 앞으로 높아지는 기온에서도 새들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과학자 

들이 더 연구하고,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해요.”라고 말했어요.




목록보기

댓글 0

재생중인 오디오가 없습니다.

재생중인 오디오가 없습니다.
0:00
0:00
재생속도
기사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