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연재기사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 1
이사를 하면서 침대, 책상, 의자, 장롱 같은 가구를 새로 샀어요. 제 취향에 맞는
색으로 골랐지요. 그런데, 책상의 모양만 보고 샀더니 책상이 너무 커서 방에
들어가지 않네요. 가구의 크기는 도대체 어떻게 재야 하나요?
가구를 사러 가면 종종 ‘6자 장롱’, ‘4자 서랍장 ’과 같은 말을 들을 수 있어요.
‘자’는 센티미터(cm), 미터(m)와 같은 길이 단위를 사용하기 전에 쓰던 말이에요.
조선시대 때 세종대왕은 과학자이자 음악가인 박연을 시켜 ‘황종척’이라는 자를 새로 만들었어요.
황종척은 악기를 만들 때 주로 사용 됐지요.
황종척의 길이는 우리나라에 고대부터 있었던 곡물인 붉은 기장 100알을
나란히 늘어놓은 것과 같았는데, 이를 ‘1척’이라고 했어요.
오늘날의 단위로 바꾸면 황종척 1척은 약 34.48cm예요.
이후, 황종척을 기준으로 옷감의 길이를 잴 때 사용한 ‘포백척’,
건축을 할 때나 토지를 잴 때 사용한 ‘영조척’, 과학 기구를 잴 때
사용한 ‘주척’ 등 여러 가지 자를 쓰임새에 따라 만들어 사용했어요.
자마다 1척의 길이가 각각 다른데, 오늘날의 단위로 보면 포백척은
약 46cm, 영조척은 약 30.65cm, 주척은 약 20.66cm랍니다.
이때, ‘척(尺)’은 한자로 나타낸 것이라 이것을 우리나라 표현으로 나타낸 것이 ‘자’예요.
1척은 1자와 같지요. 1자의 길이는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달라져서,
오늘날에는 1자가 약 30.3cm와 같다고 계산해요.
그래서 ‘6자 장롱’은 길이가 30.3×6=약 181.8cm라는 걸 의미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