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연재기사
[과학뉴스] [가상 인터뷰] 고양이의 가르릉 소리에 담긴 비밀
‘가르릉가르릉’. 고양이가 기분 좋을 때 내는 소리에도
비밀이 있다고? 선물을 받았지만, 별로 기뻐하는
내색이 없는 저 고양이…, 하지만 가르릉거리는 소리로
일리는 고양이의 진짜 마음을 알 수 있다는데?
동물들은 소리를 어떻게 내는 거야?
야옹! 반갑다냥! 동물들은 기도의 윗부분에 있
는 ‘후두’라는 기관에서 소리를 내. 후두는 연
골로 골격을 이루고 근육, 점막으로 덮여져 있
어. 후두덮개 아래쪽에는 ‘성대’라는 조직이
있지. 소리는 폐를 거쳐 나온 공기가 후두 속
성대를 진동시키며 만들어진단다. 소리의 높
낮이는 성대의 모양, 탄성도에 따른 진동수의
차이로 달라져. 보통 동물은 몸집이 클수록 성
대가 길어 진동수가 더 적고, 소리의 주파수도
낮아. 그럼 목소리가 더 저음으로 들리지. 일
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의 목소리가 더 낮은
것도 같은 이유야.
너희는 몸집이 작은데 저주파 소리를 낸다고?
고양이가 ‘야옹’하고 울 때는 사람과 마찬가지
로 뇌에서 말초신경계로 명령을 내려. 그러면
폐에서 공기를 내보내 성대를 빠르게 진동시키
고 진동을 음성으로 바꾸지. 그런데 고양이는
몸무게가 보통 수kg 정도로 작은데도 가르릉
거릴 땐 20~30Hz(헤르츠)● 대역의 저주파 소
리를 내. 이 정도로 낮은 주파수는 사람 목소리
로 내는 가장 낮은 저음보다도 훨씬 낮은 거야.
●Hz(헤르츠) : 진동수 단위. 1초에 몇 번 진동하는지를 나타낸다.
어떻게 그게 가능해?
지난 10월 3일,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음
성과학자 크리스티안 허브스트 박사팀은 호
흡기와 관련 없는 병을 앓다가 안락사한 집고
양이 8마리를 대상으로 울음 소리를 분석하
는 실험을 했어. 실험 결과, 고양이의 후두는
반복적으로 성대가 수축했다 이완하지 않아
도 25~30Hz의 소리가 났지. 연구팀은 고양
이가 가르릉거리는 소리를 내는 것은 기존의
생각처럼 뇌 신호를 받아 후두 속 성대가 주
기적으로 수축, 이완해 진동한 게 아니라, 성
대의 해부학적인 특징으로 나는 소리라고 발
표했어.
고양이 성대에 무슨 특별한 점이라도 있어?
크리스티안 허브스트 박사팀은 고양이 성대
의 안쪽 가장자리에 있는 4mm 크기의 작은
섬유 조직에 주목했어. 이전에도 고양이의 성
대에 섬유 조직이 있다고 알려졌지만,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어. 연구팀은 이 작은 섬유 조직
으로 고양이의 성대가 진동하는 속도가 느려
져, 사람보다 몸집이 작은 데도 불구하고 저음
의 저주파 소리를 낼 수 있다고 본 거란다.
와!나 고양이 좋와하는데
고양이가 어떻게 박스를..
저주파? 저주파 너 저주한다
뭔가 이상하네
어.뭐지 이느낌?
고양이가 박스를...